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중국 온라인 대출 플랫폼 P2P대출 업계의 폐업사례가 늘어나면서 중국 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일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에 따르면 6월 한 달 간 P2P 대출업체 10곳이 존폐위기를 맞거나 이미 폐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10개 기업은 톈항신(天行信), 커쉰왕(科訊網), 융타이다(永泰達)투자, 훙셩차이푸(洪升財富), 바이텅차이푸(拜騰財富), 왕진바오(網金寶), 두넝대출(都能貸), 촹신대출(創鑫貸), 헝진대출(恒金貸), 룬훙대출(潤宏貸) 등이다.
지난해 4분기에도 P2P대출업체 58곳이 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 등으로 줄줄이 폐업하는 사태가 벌어졌고, 이에 중국 금융당국은 P2P 대출업체의 디폴트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
이처럼 P2P대출 폐업사태가 이어지는 이유는 우선 중국내 관련 업체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면서 업계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6월 한 달 새 P2P대출 사업에 뛰어든 신규업체는 34개에 이른다. 현재 중국내에 개설된 P2P대출 플랫폼은 총 1035개며, 그 중 정상적으로 운영 중인 기업은 888곳이고 존폐 위기에 처한 문제기업은 총 147곳으로 전체 P2P대출 플랫폼의 14.69%를 차지한다. 이들 147개 문제 기업은 지역별로 광둥(廣東), 저장(浙江), 장쑤(江蘇), 상하이(上海), 후베이(湖北)에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지역은 경제발달지수가 높은 지역으로 지역별 업계 간 경쟁심화도와 존폐위기의 상관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대출금 이율이 높아지면서 상환압력이 증가한 데 따른 이유도 있다. 실제로 전국 17개 성(省)급 도시 P2P대출 플랫폼의 대출금 이율은 전국 평균 수준보다 높은 편이다. 특히 헤이룽장(黑龍江), 톈진(天津), 안후이(安徽) 등 3개 도시의 대출금 이율은 각각 41.23%, 38.89%, 32.22%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아울러 리스크 관리체계를 구축하지 않은 채 사업에 무작정 뛰어드는 기업이 늘면서 이로 인한 디폴트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점과 인민은행이 지난해부터 유동성 공급을 제한하고 있는 것 또한 관련 업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밖에 중국 금융당국의 그림자 금융 규제 강화 조치 또한 이러한 P2P대출업계의 위기설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중국 금융당국은 그림자금융의 위험성을 감지하고 작년부터 P2P대출에 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지난해 말 74개 P2P웹사이트를 폐쇄하기도 했다.
후샤오밍(胡曉明) 알리바바 부회장 겸 알리바바의 소액금융 결제서비스업체 샤오웨이금융(小微金融) 그룹 수석은 “중국에서 P2P의 황금기가 막내리고 있다”면서 “향후 12~18개월래 많은 P2P 대출업체가 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류장쥔(劉張君) 불법자금조달기구 전담태스크포스(TF) 팀장도 지난 4월 “현재 P2P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출방식은 디폴트와 파산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정부 당국은 이에 대한 더 큰 감독이 필요하다”고 경고, 조만간 중국 은행감독위원회(CBRC)가 P2P 대출 기업에 대한 세부적인 규제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의 P2P대출은 지난 2006년 등장하기 시작해 급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내에서는 800~1000개의 P2P대출 업체가 영업 중이며 거래금액은 1800억~20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P2P 플랫폼을 통한 신규대출은 전년도(228억6000만 위안)의 3배 수준인 680억3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P2P대출이 급성장 하면서 일반 상업은행들도 P2P시장에 진출, 차오상은행이 이미 지난해 9월 별도 웹사이트를 구성해 P2P대출 업무를 시작했고 푸파·광파은행 등도 P2P대출 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