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악성코드는 소셜댓글 서비스와 연동된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소셜댓글 서비스의 특정 라이브러리가 호출될 때, 해커에 의해 변조된 응답 서버로부터 악성코드가 위치한 사이트로 리다이렉트되는 응답을 받아 최신 플래시 취약점을 이용, 감염된다.
감염된 악성코드는 사용자 PC에 설치된 백신을 삭제하고 C&C 서버로 감염된 정보를 전송하며 대규모 봇넷을 형성한다.
또한 C&C 서버로부터 암호화된 명령을 수신 받아 추가적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실행한다. 백신이 성공적으로 삭제된 사용자들의 경우는 추가적인 보안 위협에 노출되게 된다.
최상명 하우리 차세대보안연구센터장은 “올해 들어 관제 상황 중 가장 영향력 있는 대규모 악성코드 유포 상황이다.”라며, “해당 소셜댓글 서비스가 국내에 유명한 많은 웹사이트와 연동돼 있는 만큼 현재 많은 사용자들이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