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통일금융'에 '녹색금융'이 오버랩되는 이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7-09 16: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박선미 금융부 기자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통일금융 상품이 당장 실효성이 있느냐는 말을 들으면 솔직히 할 말은 없지만 지금으로서는 정부에 맞춰주는 게 맞는 거 아닙니까"

한 시중은행의 고위 관계자는 통일금융에 대한 속내를 이렇게 털어놨다. 비록 '보여주기식'이라도 정부와 보조를 맞추는게 당연하다는 것이다.

이미 은행권에는 다양한 통일금융 상품이 나와 있다. 우리은행이 상품을 내놓더니 며칠 전에는 KB국민은행도 우대금리를 주고 통일정책 지원 기부금을 출연하는 적금상품을 출시했다. 기업은행은 모란통장, 진달래통장 등의 상표권을 등록하기도 했다. 이같은 통일금융 출시 움직임이 '통일 대박'을 얘기한 박근혜 대통령을 의식한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사실 은행들의 이같은 모습은 그다지 낯설지 않다. 이명박 정부 당시에는 녹색금융이 그 자리를 차지했었다. 5년 전 녹색성장이 대두되면서 은행들은 녹색금융 상품을 앞다퉈 선보였다. 그러나 정권이 바뀐 지금 녹색금융에 대한 상품 홍보 등은 자취를 감췄다. 

사실 통일금융 상품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은 은행들 스스로도 잘 알고 있다. 통일금융의 정의조차 명확하지 않은 데다 '보여주기' 차원에서 출시한 상품인 만큼 단발성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은행들은 실효성은 제쳐두고 일단 관련상품을 내놓고 생색을 내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은행들은 통일금융상품이 일반 여신 관련상품 등에 비해 상품기획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다고 말한다. 굳이 현 단계에서 실익도 없는 상품을 심도있게 기획해서 출시할 이유는 없고, 그렇다고 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도 없다보니 적당한 수준에서 통일금융상품을 내놓고 있다는 반증인 셈이다.

정부가 바뀌면 정책도 그 흐름을 반영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녹색금융과 같은 전철을 밟아서는 안된다. 일관성이야말로 정책의 가장 큰 덕목임을 정부 당국은 명심할 필요가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