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위험사회’ 저자 울리히 벡 교수 "위험사회 문제 해결법은 '글로벌 협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7-11 15: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박원순 서울시장(오른쪽에서 여섯번째)과 울리히 벡 뮌헨대 교수(오른쪽에서 일곱번째)는 11일 서울시청 신청사 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메가시티 씽크탱크 협의체'의 창림 포럼에 참석해 관계자들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최수연 기자]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위험사회'의 저자인 울리히 벡 뮌헨대 교수는 11일 "21세기는 여러가지로부터 위험 사회가 도래한 만큼 국가간의 협력을 하지 않으면 실패한다"고 말했다.

벡 교수는 이날 서울연구원의 주최로 서울시청 신청사 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메가시티 씽크탱크 협의체'(MeTTA, Megacity Think Tank Alliance, 메타)의 창립 포럼 '메가시티: 안전도시를 향해'의 에 참석했다.

벡 교수는 기조연설을 통해 "위험 사회 문제는 민족 국가가 단독으로 해결할 수 없다. 각 나라의 정부·정권·종교 주체들·사회적 운동가·재계 기업인들·전문가 등 싱크탱크들이 협력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유로존의 위기를 예를 들며 "메르켈 독일 총리는 3년전만 해도 유로존의 위기가 독일의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았다"며 "부채 문제 등은 그리스, 스페인, 이태리 등 의 문제로 그 나라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독일은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는 게 메르켈 총리의 입장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그는 상황이 위험해지자 다른 식의 정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며 " 협력은 안하면 실패한다고 느끼고 변화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결국 파국적인 상황에 대해 상황을 주시할 때 어쩔수 없이 모두가 영향을 받으니 협력할 수 밖에 없다"고 정리했다.

벡 교수는 위험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두번째 대안으로 '세계적이면서(코스모폴리탄) 현실적인 시각의 필요성'을 꼽았다.

벡 교수는 "한 나라의 입장에서 글로버 리스크를 바라보면 해답이 나올 수 없다"며 "코스모폴리탄 시각은 생존과 관련돼 있다"고 말했다.

벡 교수는 '코스모폴리탄의 주체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는 "주체는 국가와 국민, 언론, 학회 참여자들이 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세계적 위험 사회와 관련된 여러문제를 살펴보면 글로벌 도시가 해법이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시아의 국가 연합에 국화되지 말고 유럽의 도시 연합으로 새롭게 생각해야한다"면서 "오늘 포럼과 같은 서울의 작은 움직임은 글로벌 도시로서의 협력을 위한 첫 발을 내딛는 결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벡 교수는 "아시아 내에서 세계적으로 논의를 한다면 굉장히 흥미로운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기존 모든 협력체계가 새롭게 바뀌고 정부의 흐름도 새롭게 재정의 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벡 교수는 이날 '위험사회 도전과 서울을 선택'을 주제로 박원순 서울시장과 나눈 대담에서 "한국은 50년만에 성공적인 근대화를 실현시킨 나라인 만큼 예견치 않던 부작용도 도래하고 있다"고 염려했다.

벡 교수는 "어려운 문제에는 신뢰를 잃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만약 신뢰를 잃게되면 제도와 국가기관에 대해 정치적 시스템에 대해 불신이 생겨 위험이 더 배가가 된다"며 신뢰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어 "구체적인 위험에 대한 빠른 답이 나오더라도 정치적 시스템이 신뢰를 잃으면 인식된 위험에 해결을 제시못하면 심각한 상황"이라고 덧부였다.

이에 대해 박원순 서울시장은 "유럽의 경우 오랜 세월동안 국가간 협력의 경험이 굉장히 많다"며 "역사적으로 훨씬 더 다양한 측면에서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반면에 아시아는 협력한 경험이 짧다. 그래서 작은 것부터 함께 하길 바란다"며 "연구협의체 등 한국의 서울, 중국의 북경, 일본의 동경 등 동북아시아 도시들이 모여 협력해나가 발전해야 한다"고 벡 교수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마지막으로 박 시장은 "벡 교수께서 '위기대응 안전사회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서울에 대한 연구 또한 포함해 주길 바란다"고 부탁했고 벡 교수는 "물론이다"며 서울시와의 협력을 약속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