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개편 방안이 관철되면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들고 수도권 이외 지역 대형 SOC 사업의 문턱이 낮아지게 된다.
다만 이런 개편 방안은 재정에 대한 관리·감독 차원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를 강화하는 기존 추세와 역행할 수 있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사업의 추진 가능성이 커져 논란이 예상된다.
20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이런 내용의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 개편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인사청문회에서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이 "예비타당성 조사 공사비 기준을 올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자 "취임하게 되면 예비타당성 조사 기준 상향조정 등 예타 제도 전반을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했다.
최 부총리는 "공사비 인상 등 요인이 있는데도 1999년 도입된 예비타당성 조사 기준을 유지하다 보니 지나치게 많은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들어가고 지역균형 발전 문제도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기재부 내외에서는 김광림 새누리당 의원 등 국회의원 10명이 지난해 11월 제출한 국가재정법 일부 개정안이 기준선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의원 등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기준을 기존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고지원 300억원인 사업에서 총사업비 1000억원이고 국고지원 600억원 이상인 신규사업으로 바꿔야 한다는 내용의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정부는 예비타당성 조사 때 지역 균형발전에 대한 배점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는 수요와 공급으로 따지는 경제성 중심의 평가에서 지역균형 등 정성적 평가 부분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통상 예비타당성 조사는 경제성 분석(B/C) 결과에 정책적 분석과 지역균형발전을 더해 종합평가(AHP)를 내리는데 B/C는 1 이상, AHP는 0.5 이상이 돼야 사업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
경제성에 40~50%, 정책성에 25~35%, 지역균형발전에 20~30% 비중을 각각 부여하는데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같은 기준을 적용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수요가 작은 지방 SOC 사업은 수도권 사업보다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
최 부총리는 청문회에서 "철도나 도로 등 SOC는 전 국민을 이어주는 동맥 같은 역할을 하므로 단순히 경제성만 따져선 안된다"면서 "가능하면 지역균형개발이 되는 사업을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