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유발 헬리코박터균 항생제 내성탓에 독해졌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7-23 07: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우리나라 국민들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제균률이 최근 60%대까지 떨어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항생제 내성이 심각해 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표준치료법을 바꾸는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2일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정훈용 교수팀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국내 14개 병원에서 표준치료법(PPI-triple)으로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 400여명을 분석한 결과, 제균률이 6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15년 새 약 20%가 하락한 수치로 현재 표준치료법으로 헬리코박터균 치료를 해도 10명 중 3명 이상에서 효과가 없다는 의미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에 존재하는 세균으로 증식 속도가 느리고 움직임이 빠르며 위·십이지장궤양 및 위암 등과 연관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40세 이상 보균율은 55~65% 사이로 집계된다.

1999년 정 교수가 대한의과학회지(JKMS) 최근호에 투고한 논문을 보면 국내 헬리코박터 제균률은 최고 89.5%를 달성했었다. 하지만 2005년부터 84.2%로 낮아져 2011년 76.8%를 기록했다.

지난해와 올해엔 60% 대로 떨어졌다.

의료진은 제균률 하락의 가장 큰 원인으로 항생제 내성을 꼽았다. 현재 헬리코박터균 치료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항생제는 클라리스로마이신과 아목시실린 등이다.

위산분비억제제를 포함한 3가지 약물 병용요법으로 치료하고 있으나 가장 독한 항생제인 클라리스로마이신의 내성률이 크게 높아지면서 헬리코박터균도 잘 죽지 않게 됐다는 분석이다.

클라리스로마이신은 원래 호흡기질환 등에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로 현재 내성률이 20%를 훨씬 넘고 있다.

정훈용 교수는 “내성이 잘 안 생기는 아목시실린보다 헬리코박터균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클라리스로마이신의 내성이 치료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강한 내성을 보이는 클라리스로마이신 사용을 지금 시점부터 상당기간 중단해야 내성균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헬리코박터균 제균 적응증에 해당하는 환자들 입장에서도 처방받은 약을 끝까지 먹고 약 복용 기간에는 술·담배를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