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사카린 허용 식품에 빵류·과자·캔디류·빙과류·아이스크림류·기타 코코아가공품와 초콜릿류를 추가하는 내용의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안을 행정예고했다고 밝혔다.
사용 허용량은 ㎏당 빵은 0.17g 이하, 과자와 아이스크림 0.1g 이하, 초콜릿류는 0.5g 이하 등이다.
사카린은 유해성 논란 때문에 지금까지 젓갈, 김치, 시리얼, 뻥튀기, 잼, 소주 등 일부 제품에서만 사용이 허용됐다.
그러나 1970년대 캐나다에서 사카린을 투여한 쥐에서 방광종양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사카린에는 유해물질이라는 꼬리표가 붙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사카린을 유해우려물질 목록에 올리는 등 각국의 규제가 시작됐다.
우리나라도 1990년대 들어 사카린을 사용할 수 있는 식품 종류가 대폭 줄었다.
이후 사카린의 유해성을 반박하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나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캐나다의 쥐 실험은 음료 800개를 마셔야 섭취할 수 있는 정도의 대량 사카린을 매일 투여해 얻어낸 극단적인 결과라는 주장도 나왔다.
미국 독성연구프로그램(NTP)은 2000년 사카린을 발암성물질 목록에서, EPA는 2010년 유해우려물질 목록에서 각각 삭제했다. 다른나라 역시 사카린의 사용 허용 범위를 넓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