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현지시간) 미국의 의학저널 '감염통제' 8월호에는 주먹치기, 악수, 하이파이브 등의 인사법이 상대방에게 어느 정도의 세균을 전염시키는지에 대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위생 장갑을 세균이 가득한 용기에 담근 뒤 말렸다가 이 장갑을 낀 채 주먹치기, 악수, 하이파이브를 각각 실시해 세균을 옮기는 정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오바마 대통령이 각종 행사 때마다 흔히 행하는 주먹치기는 보편적인 인사법 가운데 하나인 악수보다 세균 전염 정도가 20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이번 실험을 진행한 영국 에버리스트위스대학의 데이비드 위트워스 박사는 "전혀 세균을 옮기지 않는 인사법이 존재할 가능성은 없다"며 "개인들 간 세균 전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인사법인 악수보다는 주먹치기를 하는 게 확실히 낫다"고 설명했다.
주먹치기가 상대적으로 위생적인 이유는 주먹을 서로 맞부딪치는 과정에서 접촉면이 악수 등 다른 인사법에 비해 크게 적기 때문이라고 의료전문가들은 설명했다.
한편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통계에 따르면 병원에 입원한 환자 100명 중 4명은 의료 종사자들의 손을 통해 옮겨진 세균에 감염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해마다 7만 5천명이 숨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