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는 올해 CNG 하이브리드버스를 20대를 시작으로 2018년까지 2100대 보급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CNG 하이브리드버스는 저속이거나 정차할 때 전기를 모터 동력으로 운행된다. 전기 또한 버스에 탑재된 전기배터리와 모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이 필요치 않다.
속도가 올라가면 천연가스 연료를 기반으로 해 CNG보다 연료비는 적게 들고 대기오염배출물질도 적다. 모두 저상으로 제작돼 교통약자가 타기 편리하다.
앞서 서울시가 2012년 7~10월 4개월간 실증사업을 한 결과 연비는 CNG 대비 34.5%, 대기오염물질은 30%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보급은 한국정책금융공사의 그린카펀드를 활용하는 새로운 모델로 주목된다. 서울시 역시 환경부와 매칭으로 40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그린카펀드'는 한국정책금융공사가 국내 전기차와 충전인프라 보급 차원에서 1000억원을 조성한 것이다. 시내버스 회사들이 버스를 바꿀 때 기존 CNG버스 가격으로 CNG 하이브리드버스를 구매하고, 그 차액을 향후 절감된 연료비로 상환하게 된다.
CNG 하이브리드버스가 내구 연한인 9년 동안 절감할 수 있는 연료비는 1억800만원 가량이다. 이렇게 되면 버스 구입비를 빼더라고 버스회사에서 약 6900만원의 연료비가 절감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서울시는 올해 CNG 하이브리드버스 20대 보급에 이어 2015년 50대, 2016년 600대, 2017년 780대, 2018년 650대를 목표로 잡았다.
2018년 서울시내에 CNG 하이브리드버스가 2100대 보급되면 내구 연한 9년간 연료비 2268억 원, 대기오염물질(NOx, 질소산화물) 3124t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행정1부시장 정효성)는 지난달 30일 한국정책금용공사(사장 진웅섭)와 'CNG 하이브리드버스 등 전기차 및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강희은 시 친환경교통과장은 "CNG 하이브리드버스는 대기질 개선은 물론 연료비 절감에도 기여하는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이라며 "앞으로 수명이 다해 교체되는 시내버스를 우선 대상으로 해 적극 늘려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