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반영구적으로 작동 가능한 자가발전 심장박동기를 개발, 동물실험에 성공했다.
7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이건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과 정보영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은 고효율·유연 압전나노발전기를 개발해 배터리가 필요 없는 인공심장박동기를 구현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장마비를 예방하고 생체이식형 의료기기의 수명을 늘리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심장박동기는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환자의 몸속에 이식된 뒤 심장에 전기자극을 가해 박동을 정상적으로 만들어주는 의료장치다.
하지만 이 장치의 가장 큰 단점은 제한된 배터리의 수명 때문에 주기적으로 기기를 교체하는 시술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환자들의 불편은 물론 감염 및 출혈이 생길 수 있다.
연구팀은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유연 압전나노발전기’를 통해 심장박동을 인위적으로 규칙화하는 방법을 썼다. 이 방식은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쥐의 심장을 직접 자극해 성공적으로 작동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나노발전기는 신체의 미세한 움직임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로 심장을 직접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심장박동기의 수명을 늘리는 것은 물론 그동안 에너지가 부족해 불가능했던 심장의 실시간 모니터링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보영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를 임상에 적용하면 자가발전 심장박동기에 사용될 수 있고 부정맥과 같은 심장의 이상증후를 미리 진단해 심장마비 등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이식형 의료기기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가 추진하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스마트IT융합시스템연구단)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7월 23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7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이건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과 정보영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은 고효율·유연 압전나노발전기를 개발해 배터리가 필요 없는 인공심장박동기를 구현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장마비를 예방하고 생체이식형 의료기기의 수명을 늘리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심장박동기는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환자의 몸속에 이식된 뒤 심장에 전기자극을 가해 박동을 정상적으로 만들어주는 의료장치다.
하지만 이 장치의 가장 큰 단점은 제한된 배터리의 수명 때문에 주기적으로 기기를 교체하는 시술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환자들의 불편은 물론 감염 및 출혈이 생길 수 있다.
연구팀은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유연 압전나노발전기’를 통해 심장박동을 인위적으로 규칙화하는 방법을 썼다. 이 방식은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쥐의 심장을 직접 자극해 성공적으로 작동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나노발전기는 신체의 미세한 움직임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로 심장을 직접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심장박동기의 수명을 늘리는 것은 물론 그동안 에너지가 부족해 불가능했던 심장의 실시간 모니터링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보영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를 임상에 적용하면 자가발전 심장박동기에 사용될 수 있고 부정맥과 같은 심장의 이상증후를 미리 진단해 심장마비 등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이식형 의료기기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가 추진하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스마트IT융합시스템연구단)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7월 23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