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 창의교육’은 지난 7월 정부의 ‘PP산업 발전전략’ 계획 수립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 후원으로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한국전파진흥협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며 2015년부터 장르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현재 국내 PP산업 종사자는 약 1만4000명이며 이 가운데 순수 방송제작 관련 인력은 7000명 수준이다. 특히 중소PP의 채널당 평균 제작인력은 약 21명으로 만성적인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또 중소PP의 영세한 재무구조로 인해 적극적인 인력 투자도 어려운 실정이다.
협회는 PP들이 체질 개선을 할 수 있도록 ‘PP 창의교육 프로그램(PPCI)’을 운영, 기획·제작·유통 전 과정에 걸쳐 방송제작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협회는 지난 7월부터 어린이채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제작사례, 콘텐츠 큐레이션 등 다양한 주제로 시범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8월 8일 종료되는 시범교육 결과를 바탕으로 업계 의견을 청취해 커리큘럼을 보완, 본격적인 교육 사업에 나설 예정이다.
오는 9월에는 예능·버라이어티 프로그램 기획부터 제작, 유통까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제작 워크플로우’ 교육과 신규 제작인력을 위한 ‘PP 콘텐츠 제작 노트’ 교육도 준비 중이다.
2015년부터는 PP채널의 장르별(예능, 레저, 다큐 등) 전문인력 양성, 콘텐츠 비즈니스, 방송포맷 개발, 신규 제작인력 양성 등 전 방위적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하동근 PP협의회장은 "PP업계가 당장 제작인력을 대폭 늘릴 수는 없겠지만, 꾸준한 재교육과 투자를 통해 우수인력을 확보해 자체제작 중심으로 PP산업의 체질을 개선해 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