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KT가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를 위한 3번째 주파수 대역 확보가 기정사실화되면서 관련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8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KT가 요청한 2.1㎓ 대역의 용도 전환을 검토하기 위해 구성한 정책연구반이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진화에 맞춰 해당 대역을 LTE로 전환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정부가 2001년 KT에 3G 서비스용으로 할당한 2.1㎓ 대역의 10㎒폭을 4G(LTE)용으로 전환해 사용하도록 허용해주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정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이달 중 장관 보고를 거쳐 이달 말께 주파수 용도 전환을 확정할 계획이다.
KT는 2001년 이 주파수 대역을 ‘IMT(DS) 비동기식’ 기술용이라는 조건으로 배정받았다.
당시에는 LTE 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사실상 3G용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이후 기술이 진화되면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IMT(DS) 비동기식에 LTE를 포함하는 등 기술 범위가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KT는 해당 대역을 LTE 서비스용으로 사용하겠다며 올해 초 미래부에 용도 전환을 요청했다.
KT가 2.1㎓ 대역을 LTE용으로 확보하면 경쟁사에 발맞춰 3개 주파수 대역을 묶어 최고 속도를 300Mbps(초당 메가비트)로 끌어올리는 이른바 ‘3밴드 주파수묶음기술(CA)’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KT는 1.8㎓(20㎒ 폭)과 900㎒(10㎒ 폭)를 2.1㎒과 묶을 계획이다.
경쟁사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이미 3밴드 CA를 연내 상용화한다는 계획으로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다.
KT가 최종적으로 이 주파수 대역을 확보하게 되면 이동통신사들의 속도경쟁이 재점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래부의 최종 확정까지는 아직 고비가 남아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미래부의 이러한 결정에 ‘특혜’라며 강력히 반발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8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KT가 요청한 2.1㎓ 대역의 용도 전환을 검토하기 위해 구성한 정책연구반이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진화에 맞춰 해당 대역을 LTE로 전환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정부가 2001년 KT에 3G 서비스용으로 할당한 2.1㎓ 대역의 10㎒폭을 4G(LTE)용으로 전환해 사용하도록 허용해주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정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이달 중 장관 보고를 거쳐 이달 말께 주파수 용도 전환을 확정할 계획이다.
당시에는 LTE 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사실상 3G용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이후 기술이 진화되면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IMT(DS) 비동기식에 LTE를 포함하는 등 기술 범위가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KT는 해당 대역을 LTE 서비스용으로 사용하겠다며 올해 초 미래부에 용도 전환을 요청했다.
KT가 2.1㎓ 대역을 LTE용으로 확보하면 경쟁사에 발맞춰 3개 주파수 대역을 묶어 최고 속도를 300Mbps(초당 메가비트)로 끌어올리는 이른바 ‘3밴드 주파수묶음기술(CA)’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KT는 1.8㎓(20㎒ 폭)과 900㎒(10㎒ 폭)를 2.1㎒과 묶을 계획이다.
경쟁사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이미 3밴드 CA를 연내 상용화한다는 계획으로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다.
KT가 최종적으로 이 주파수 대역을 확보하게 되면 이동통신사들의 속도경쟁이 재점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래부의 최종 확정까지는 아직 고비가 남아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미래부의 이러한 결정에 ‘특혜’라며 강력히 반발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