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복식에 입는 교황 제의 앞]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오는 16일 광화문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집전하는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시복미사’와 18일 명동성당에서 봉헌될 ‘평화와 화해를 위한 미사’에서 교황과 주교단과 사제단이 입을 제의 실물사진이 공개됐다.
천주교 교황방한준비위원회(위원장 강우일 주교)는 두 미사의 제의는 스승예수의 제자수녀회 한국관구(관구장 권 마리아 잔나 수녀)가 디자인, 제작했다고 10일 밝혔다.

[시복식에 입는 교황 제의 뒤]
■교황의 시복미사 제의= 순교와 피, 성령을 뜻하는 홍색이다.(가톨릭에서는 미사 전례에 따라 제의 색상이 정해진다) 교황 방한 기념 로고와 성작(미사에서 포도주를 성혈로 축성할 때 사용하는 잔), 칼을 조화롭게 형상화했다. 성작은 성작 그 자체를 상징하면서 한편으로 찬미의 손짓을 표현한 것이다. 칼은 순교자들의 수난을 뜻한다. 전체적으로 수난 뒤에 따라오는 찬미와 영광을, 궁극적으로는 십자가의 영광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미사 제의]

[염추기경 제의. 사제단 제의]

주교단 제의의 십자가는 고통의 십자가가 아닌 영광과 찬미를 의미하며 곡선을 사용해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상징하고 있다. 124위 시복미사와 평화와 화해를 위한 미사에서 주교들은 이 제의를 착용한다.
▶ 백색 : 백색(白色)은 “그들은 하얀 옷을 입고 나와 함께 다니게 될 것이다”(묵시 3,4)에서와 같이 영광, 결백, 기쁨을 상징한다.
▶ 홍색, 녹색 : 홍색(紅色)은 피와 열과 사랑을 상징한다. 따라서 성령 강림, 사도, 순교자 축일에 입는다. 또한 녹색(綠色)은 생명의 희열과 희망 그리고 영생을 상징한다. 따라서 연중 주일에 입는다.
▶ 자색, 흑색 : 자색(紫色)은 참회와 보속을 의미하므로 대림, 사순 시기에 입는다. 그리고 흑색(黑色)은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장례, 위령 미사, 위령의 날 등에 입는다. 그러나 오늘날 죽음은 새로운 생명의 부활을 의미하기 때문에 백색을 입는 경향이 많아졌다.[ 출저=천주교 용어사전]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