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8/11/20140811155639933283.jpg)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오른쪽)와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지난 7일 국회에서 세월호 특별법 논의를 하고 있다.[사진=YTN 뉴스 화면 캡처 ]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11시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비공개 주례 회동을 갖고 세월호 특별법과 관련한 남은 쟁점을 논의했다.
배석자 없이 단독 협상에 나선 이 원내대표와 박 원내대표는 도시락 배달을 시켜 점심 식사시간까지 할애하며 2시 30분 가량 쉼 없이 협상을 벌였다.
여야는 세월호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기소권을 부여하는 문제 및 특별검사 추천권 문제,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청문회 증인 채택 등을 놓고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한 채 협상에 진통을 겪었다.
이들은 새정치민주연합의 의원총회가 예정된 오후 3시를 30분여 앞둔 시각까지 양보 없는 대치를 거듭하다 “내일 다시 만나 논의하자”며 결론 없이 회담을 종료했다. 이들은 자세한 협의 사항에 대해선 “말하지 않기로 했다”며 언급을 피했다.
여야 원내대표는 지난 7일 진상조사위 구성 방법 등 세월호특별법 제정 관련 11개 사항을 합의했다. 이날 회동에서는 11개 합의안의 큰 틀을 유지하되 특별검사 추천 방식과 청문회 증인채택 문제 등에 대해 추가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특검 추천권을 포기했다는 유가족과 당 안팎의 반발 여론에 부딪혀 특검 추천시 야당 몫을 늘려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완구 원내대표는 이같은 요구에 확고한 반대 입장을 보여 최종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새정치연합은 세월호 특별법 합의 문제를 청문회 증인 채택과 연계하기로 한 상태다. 이에 따라 만약 12일로 예정된 회담에서조차 증인 채택 문제를 결론내지 못하면 오는 18일 예정된 청문회 개최는 사실상 열리지 못하게 된다.
세월호 특별법 관련 실무적 협의를 위임받은 양당 정책위의장들도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 주호영·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정책위의장도 이날 오전 실무협의를 ‘빈 손’으로 종료하면서 세월호 특별법과 관련된 모든 협상권은 여야 원내대표에게로 공이 넘어간 상황이다.
새정치연합의 의원총회도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 오는 13일로 예정된 국회 본회의 세월호 특별법 처리와 18일로 예정된 세월호 청문회 모두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날 양당 원내대표 회동 시작 전 정의당 심상정 원내대표가 협상장을 찾았으나 양당 원내대표는 이를 외면하고 비공개 회담을 시작했다. 이에 심 원내대표는 “어디로들 가셨느냐. 이렇게 폐쇄적이어서야 되겠나. 아무리 작은 당이라도 원내정당의 원내대표인데 농성자 취급 말라”고 항의했다.
심 원내대표는 취재진들에게 “우리는 세월호특별법을 가장 먼저 냈고, 양당의 협상카드로 거론되는 ‘진상조사위 특검 추천권 부여’ 안을 우리가 냈는데도 법안 설명 기회조차 없다”며 “기존 합의를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