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TV] 서비스로 단통법 돌파한다는 LG유플러스(LGU+), “현실은 꼴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8-11 19: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진수 이주예 정순영 기자 =Q. 이동통신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 즉 단통법의 시행을 앞두고 LG유플러스(LGU+)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왜 그런가요?

- 단통법 시행으로 이제 LG유플러스(LGU+)를 비롯한 통신사들은 법이 정한 상한선 내에서 휴대폰 보조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번호이동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던 LG유플러스(LGU+)의 '카드'가 하나 줄어들었다고도 볼 수 있을텐데요.

LTE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든 점도 LG유플러스(LGU+)에 부정적이라는 평가입니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LG유플러스(LGU+)는 앞으로 요금제와 서비스 다양화로 승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과연 통할지는 의문입니다.

Q. 이제 LG유플러스가 살 길은 서비스 개선일 텐데 이 부문도 가장 취약한 곳 중의 하나여서 애를 먹을 것 같죠?

- LG유플러스의 서비스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서비스 부문에서 끝에서 1등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이동통신사들의 소비자 피해가 667건 접수됐다고 밝혔는데 그중 1위는 LG유플러스였습니다.

가입자 100만 명당 소비자 피해구제 건수가 가장 많았는데 계약내용 불이행 피해가 44.1%로 1위였습니다.

그다음 통화품질·인터넷연결 상태 불량, '요금 과다청구' 순이었는데요.

구두로 약정한 단말기 할부금 또는 위약금 지원이 이행되지 않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소비자가 계약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거나 특약사항을 계약서에 기재했는지 확인 안 하는 점 등을 악용한 겁니다.

Q. 이뿐만 아니라 스팸 수신량도 3개 통신사 가운데 LG유플러스가 1위를 기록했죠?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밝힌 ‘2013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 에 따르면 평균 문자스팸 수신량은 국민 1인당 평균 0.22통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동통신 3사 중 스팸수신량은 역시 LG유플러스가 가장 높았는데요.

사업자 별로는 SK텔레콤이 0.21통, KT 0.22통, LG유플러스 0.25통이었습니다.

LG유플러스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2.3% 감소한 980억원을 기록했는데요.

서비스 부문에서 그동안 안 좋은 평을 들어왔던 LG유플러스 뼈를 깎는 혁신이 있지 않는다면 실적은 악화일로를 걷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Q. LG유플러스 물론 아직 선전하고 있고 마케팅 비용 등 지출이 늘었기 때문일 수도 있겠지만 영업이익이 줄었다는 것은 단통법 시행을 앞두고 좋은 징조는 아닐 텐데요. ‘당신을 위한 유비쿼터스’라는 뜻의 유플러스 정신을 되새겨 본다면 위기의 시점에서 살아남는 해법이 보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이미지 확대
[영상=아주방송]

[영상=아주방송]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디지털캠프광고로고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