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는 12일 오전 11시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부패척결을 위한 초강수 대책마련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상북도는 12일 오전 11시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직사회 부패척결을 위해 초강수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특히 도는 재난안전사고, 복지부정 수급 등의 비리에 대해서는 그동안 어떠한 공적이 있었다 하더라도 관용을 베풀지 않고 엄중 문책할 계획이다.
그동안 명절이나 연말연시 등 취약시기에만 일시적으로 시행하던 공직감찰 활동을 6명의 pride 암행감찰단을 활용 연중 상시적으로 운영하며, 비위 우려 공직자에 대한 밀착 감찰로 비리행위를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대형공사장이나 복지시설 등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곳과 출자·출연기관 등을 상시감찰 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관피아로 인식되고 있는 출자·출연기관장의 비위행위도 사전에 차단토록 한다.
아울러 안전사고 관련자는 그동안 어떠한 공적이 있더라도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엄중 문책토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책결정은 고위공직자가 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실무자가 책임지는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고위직의 관리감독 의무를 강화토록 했다.
출자출연기관 등에는 공무원 가족채용도 제한된다.
도 소속기관 및 도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를 지도·감독·규제·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의 가족이 그 기관이나 단체에 채용되는 것을 금지한다.
위반해 채용되었을 경우 도지사가 그 기관이나 단체의 장에게 취소토록 권고한다.
그러나 공개경쟁 시험을 통해 채용될 경우는 제외된다. 이를 위해 공무원 행동강령 규칙을 개정해 그 근거를 마련키로 했다.
비위공무원에 대한 징계양정도 강화된다. 100만 원 이상 공금을 횡령했거나 유용했을 경우와 직무와 관련해 금품이나 향응을 수수하고 위법 부당한 처분을 한 경우에는 그동안 정직이상의 처분을 하던 것을 바로 해임이상의 처분을 받도록 강화해 규칙을 개정했다.
또한 도 감사관실에 부정청탁 및 공익신고센타를 설치·운영한다.
공무원이 부정한 청탁을 받은 경우 그 사실을 비밀이 보장되는 감사관에게 직·간접적으로 신고하면 감사관이 직접 해결한다.
이를 위해 감사관 직통 핫라인(053-950-3434)도 설치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정부의 전 방위적 부정부패 척결 의지에 발맞추어 경북이 반드시 부정부패 없는 청렴사회를 반드시 구현해 나가겠다”고 공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