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희망버스 농성]
2011년 희망버스 시위 당시 김 위원이 농성 중인 크레인으로 가자고 시위대를 선동해 저지에 나선 경찰이 피해를 입었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중앙지법 민사6단독 심창섭 판사는 국가와 경찰 14명이 송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송씨는 총 1528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판결에 따라 송씨는 국가에 437만원, 경찰 14명에게는 각자의 부상 정도에 따라 30만원∼662만원까지 배상하게 됐다.
시위 과정에서 송씨는 무슨 일이 있어도 크레인으로 가야 한다는 발언을 하며 영도조선소로 진입하려다 경찰과 충돌한 바 있다.
조선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폭력이 일어나 일부 경찰과 시위대는 부상을 입기도 했다.
국가와 경찰 14명은 시위대의 이런 행동으로 전치 1∼12주의 부상을 당했고 무전기 등도 파손됐다며 송씨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
심 판사는 "송씨가 희망버스를 조직·운영하면서 김 위원이 고공농성을 하는 영도조선소 내의 크레인으로 집결하라고 공지했고, 시위대로 하여금 불법행위를 하더라도 김 위원이 농성 중인 크레인으로 가도록 선동했다"고 판단했다.
이어 심 판사는 "송씨의 이런 행위는 집회 및 시위현장에서 참가자들을 적극적으로 격려해 폭력 등의 불법행위를 하도록 권유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송씨는 시위대의 불법 행위로 인해 경찰관들과 국가가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