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서울디자인재단과 아름지기재단은 돈암2동 주민센터 앞에 위치한 350년 된 느티나무의 방치상황을 안타깝게 여겨 ‘마을 정자나무 가꾸기’사업을 시작하게 됐다.
2013년도 5월부터 시작된 ‘마을정자나무 가꾸기’ 사업은 서울시 조경과, 성북구청, 흥천사, 돈암2동 주민센터등의 협조아래 대상지의 조사와 분석을 통해 진행됐고 2개월간의 조경공사를 끝으로 2014년 8월초 탈바꿈 하게 됐다.
또한 마을 주민들의 인터뷰와 문헌조사를 통해 350년 된 느티나무의 전설 및 다양한 이야기도 발굴했다.
흥천사의 건립 이전부터 있었던 느티나무는 어느날 이유 없이 죽어가고 있었는데 흥천사의 주지스님 및 주민이 치료해 기적적으로 되살아났다. 그 후 나무는 마을 주민이 소원을 비는 등 마을의 서낭당 역할을 했지만 원주민이 타지역으로 이사를 가고 지역이 개발돼, 나무에 대한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잊혀졌다고 한다.
이번 마을정자나무 가꾸기 사업의 디자인 컨셉은 흥천사 입구로서의 상징성과 인근 아파트단지와 연계된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잡았다. 조경설계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의 정욱주교수가 맡았다.
‘마을정자나무가꾸기’ 사업은 돈암동 흥천사 느티나무를 시작으로 매년 1개 나무씩 선정해 진행하며 사업예산은 민간기업 및 시민의 후원을 받아 100% 민간자본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시에는 216주의 지정보호수 외에도 보호받아야 할 나무들이 곳곳에 있다. 이 때문에 서울디자인재단과 아름지기재단은 시민들이 제보와 기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래폼의 구축을 구상 중이다.
서울디자인재단의 백종원대표는 “마을의 상징이자 주민들의 쉼터인 노거수 주변을 아름답게 가꾸어 사람, 자연, 문화가 어우러지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만들어 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