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8/20/20140820110957109332.jpg)
[출처=금융감독원]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금융감독원이 급증하고 있는 상장법인 회외 자회사에 대한 회계 신뢰도에 의문을 나타내 귀추에 관심이 쏠린다.
해외 자회사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보다는 상대적으로 회계감독이 느슨한 아시아 신흥국에서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서다.
20일 금융감독원이 내놓은 '2013년 상장법인 연결재무제표 공시 및 종속회사 현황 분석'을 보면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국내 상장 지배회사에 속한 종속회사 가운데 해외에 사업장을 둔 비율은 60.8%로 전년 대비 2%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해외 종속회사 증가는 2011년 이후 아시아 신흥국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연결자산 기준 상위 100개 상장사만 봤을 때 지역별 해외 종속회사 비율은 2013년 아시아가 50.9%로 가장 높았다. 이어 미주 25.6%, 유럽 18.1%, 중동ㆍ아프리카 2.8%, 오세아니아(대양주) 2.6% 순이다.
우리나라가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두 나라 무역 규모는 해마다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2013년만 2289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1년 만에 6% 넘게 증가했다.
아시아 지역 해외 종속회사 가운데 중국 비율이 27.0%로 가장 높은 이유다. 이는 1년 만에 2.1%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반면 유럽이나 중동, 아프리카, 대양주에서는 해외 종속회사 비율이 되레 감소하고 있다.
해외 종속회사가 중국에서 급증하면서 회계감독에 사각지대가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 기업 상당수는 국내 증시에 상장했다가 분식회계로 퇴출되거나 회계 투명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돼 왔다.
금감원은 해외 종속회사가 속한 나라별로 감독 수준이나 경제 상황을 분석해 고위험 지역에 대해서는 감사절차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이후 국내에서도 공인회계사회 부실감리가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해외 종속회사 감시가 제대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공인회계사회는 해마다 감리 대상을 무작위로 선정하며, 회사에 따라서는 10년 넘도록 감리를 받지 않을 수도 있다.
박희춘 금감원 회계감독1국장은 "(상호출자제한) 대기업집단 계열사를 중심으로 해외 종속회사 수가 증가하고 있다"며 "연결 실적에서 해외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현지 회계감독이 취약할 경우 신뢰성 저하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