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의 계획에 지역주민들이 정면으로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는 지난22일 인천시 중구 한중문화관에서 주민설명회를 열고 인천내항 1·8부두를 3단계로 나누어 개발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우선 1·8부두사이에 개항역사공원을 조성한후 점차적으로 2단계는 8부두,3단계는1부두를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해수부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다음달 중으로 중앙 항만심의위원회를 거쳐 계획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에 지역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해 정부가 1·8부두에 대한 로드맵과 기본계획을 발표해 놓고는 자신들의 편의대로 개발계획을 축소 변경하는등 지역주민들의 의사를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주민들의 주장이다.
특히 이번 해수부의 계획에는 주민들이 아닌 항만업계를 배려한 꼼수가 깔려있다고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오는9월 개최예정인 중앙항만심의위원회가 이번 내항개발변경 의 가장 큰 이유로 알려진 △하역사 이전 △항만근로자 재배치 방안등이 마련되기도 전에 열리면서 하역사들에게 시간을 벌어주는등 특혜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 때문에 지역주민들은 정부가 당초 마련한 계획의 원안대로 내항개발이 이루어져야한다고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이에대해 해수부관계자는 “이번 주민설명회는 빠른 시간내에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위한 것”이라며 “아직까지 결정된 것이 없는 만큼 지역주민들의 요구를 충분히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