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근로시간 2000년보다 349시간 감소해도 OECD 2위..OECD평균보다 393시간 많아

한국인 근로시간은 많이 줄었어도 여전히 다른 OECD회원국들보다 매우 길다. [사진=이형석 기자]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 한국인 근로시간이 지난 2000년보다 349시간이나 감소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2위이고 OECD 평균보다 393시간이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현지시간) OECD에 따르면 연간 한국인 근로시간은 2000년 2512시간에서 지난해 2163시간으로 349시간 줄었다.

그러나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인 근로시간은 OECD 회원국 중 멕시코 다음으로 길었다. 멕시코의 근로시간은 2237시간이었다.

한국인 근로시간은 OECD 회원국 평균 근로시간 1770시간보다 393시간, 근로시간이 가장 짧은 네덜란드의 1380시간보다는 783시간이나 길었다.

OECD 평균 근로시간은 2000년 1845시간에서 지난해 1770시간으로 75시간 감소하는 데 그쳤다.

이는 2000년대 들어 한국의 역대 정부가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실업난 해소와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 등을 위해 한국인 근로시간을 단축하는 정책을 시행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인 근로시간은 다른 OECD 회원국들보다 매우 길다.

OECD 전체 34개 회원국 중 칠레(2015), 그리스(2037), 한국(2163), 멕시코(2237)를 빼고는 모두 근로시간이 2000시간이 안 됐다.

덴마크(1411), 핀란드(1666), 프랑스(1489), 독일(1388), 영국(1669), 스웨덴(1607), 룩셈부르크(1643), 노르웨이(1408) 등 유럽의 주요 선진국들은 근로시간이 한국인 근로시간보다 훨씬 적었다.

미국과 일본, 캐나다 역시 각각 1788시간, 1735시간, 1706시간으로 한국인 근로시간에 크게 못 미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