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아직까지 항공수요만 조사했을 뿐이라는 입장이지만 영남 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은 신공항 추진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단 신공항 건설 여부와 입지는 타당성조사를 거친 후 결정되며 이 과정에서 신공항 유치를 위한 지자체간 경쟁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영남지역 항공수요조사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영남지역 5개 공항(김해·대구·울산·포항·사천)의 장래 항공수요 예측결과를 발표했다.
용역결과에 따르면 지역 내 공항이용객이 가장 많은 김해공항은 항공수요가 연평균 4.7% 증가해 지난해 실적 967만명에서 2030년에는 2162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따라 김해공항은 2023년경부터 활주로 혼잡이 시작될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개 공항은 활주로 용량이 수요에 비해 충분하다는 게 조사 결과다.
이번 조사는 외국 공항전문기관인 프랑스 파리공항공단(국제선)과 한국교통연구원(국내선)이 참여했다. 국토부는 해당 지역 지자체와 항공수요 용역 시행방법에 대한 사전합의를 거쳐 용역에 착수했다.
영남지역은 저비용항공사(LCC) 취항에 따른 항공시장 변화로 최근 높은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지난 5년간 김해공항은 연 8.9%씩 성장했으며 대구공항은 올 상반기 실적이 전년 대비 17.2% 상승했다.
국토부는 수요조사 결과 장래 항공수요에 대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신공항 입지·규모·경제성 사전타당성검토 용역에 착수키로 했다. 이미 올 예산에 용역비 20억원을 반영했다. 이 조사는 약 1년이 걸리며 이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도 거쳐야 한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2011년 영남권 신공항 입지로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2곳을 검토했다가 경제성이 미흡하다고 결론짓고 백지화해 지자체 반발을 산 적이 있다. 2009년 타당성 조사 당시 가덕도와 밀양의 비용대비 편익비율이 각각 0.70과 0.73으로 기준(1)에 미달했다. 그렇지만 최근 LCC의 급성장 등으로 항공 수요가 충분하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대구·경북·부산·경남·울산 영남 지역 지자체는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환영하며 신공항 건설이 박근혜 대통령 공약 사항인 만큼 추진이 당연하다는 분위기다.
단 향후 신공항 입지를 놓고는 지자체간 갈등이 벌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국토부는 신공항 건설에 ‘지자체 합의’를 우선 사항으로 두고 있지만 각 지자체 이해관계가 맞물려 제대로 합의가 이뤄질지 여부가 미지수다. 앞서 부산과 대구는 가덕도와 밀양 신공항 입지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최정호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번 연구용역은 단순 영남지역 항공수요를 따지기 위한 것”이라며 “향후 연구용역과 지자체 협의 등을 거쳐 신공항 건설 여부와 입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