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31일 '통화상황지수와 적정금리 추정' 보고서를 통해 테일러 준칙에 따른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수준을 분석하며 이같이 전했다.
테일러 준칙은 존 테일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제시한 통화정책 운용 원칙으로, 실물경기 상황과 물가상승 압력을 고려해 경제상황에 맞는 적정한 금리 수준을 산출하는 것이다.
보고서는 테일러 준칙에 의해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를 올해 2분기 기준 1.76%로 추산했다. 이는 현재의 기준금리(2.25%)보다 0.49% 포인트 낮은 수치다.
이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높은 물가상승 압력으로 적정금리가 크게 오르기도 했으나, 최근 저물가와 국내총생산(GDP) 갭(실질 GDP 성장률에서 잠재 GDP 성장률을 뺀 값)이 커지면서 다시 적정금리 수준이 크게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또 보고서는 "통화정책의 긴축 또는 완화 기조를 살펴볼 수 있는 통화상황지수(MCI)는 현재 약 6.2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이후 가장 높다"고 평가했다. 통화상황지수는 상대치가 높을수록 통화정책이 긴축적임을 의미한다.
끝으로 "테일러 준칙에 따른 적정금리가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라면서도 "다만 현 기준금리와 적정금리 차이를 고려할 때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여력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