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의 일부는 장중 저가를 기준으로 삼아 변동성 확대에 따른 위험 노출이 커진 탓이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현재 15%인 주식시장 가격제한폭을 30%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2주 전 특별TF팀을 꾸렸다.
TF팀은 변동성 확대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김지혜 교보증권 연구원은 "2011년 설정된 종목형 가운데 일부가 장중 저가를 기준으로 녹인 베리어 터치로 손실을 보기도 해, 이에 따른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ELS는 최근 몇 년 새 은행예금 금리 하락과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맞물려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2014년 2분기 ELS 발행액은 13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5% 늘었다.
이 가운데 원금비보전형 ELS 발행액이 전체의 75.5%를 차지한다.
증권사들은 상, 하한가 완화에 따른 새로운 규제가 ELS 시장 위축을 가져올까 우려하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규제책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1일 변동폭이 확대됐다고 종목형 ELS의 손실 위험이 커졌다고 보고 있진 않으며, 금감원의 지침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자체적으로 ELS 상품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상, 하한가 완화로 인한 ELS 영향을 검토해 볼 의향이 밝히면서도, 구체적 제도 변경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가격제한폭 완화로 내재변동성이 커질 수는 있으나 ELS의 변동성 확대로 쿠폰가격이 올라 상품의 수익률이 더 커질 수 있는 등 시장에서의 자연스러운 변동성으로 볼 수 있는 면도 있다"고 말했다.
종목형이 일부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관련 규제 정책이 나와도 전체 ELS 시장에 위축을 주는 등 시장 활성화에는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 연구원은 "전체 ELS 발행액 가운데 종목형 ELS가 차지하지는 비중이 3%에 불과하고, 장중 저가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품도 최근에는 종가 기준으로 바뀌고 있어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