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9/04/20140904132355710680.jpg)
제2롯데월드 전경 [사진=롯데건설 제공]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시민단체가 제2롯데월드(롯데월드타워)를 프리오픈(pre-open)하기로 한 서울시의 결정에 반발하고 나섰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논평을 통해 “(제2롯데월드 프리오픈은) 시민 안전을 볼모로 대기업의 숙원사업을 이뤄주겠다는 것과 같다”며 “프리오픈 결정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앞선 3일 롯데가 제출한 제2롯데월드 저층부(애비뉴엘동‧캐주얼동‧엔터테인먼트동) 임시 사용 승인 신청에 대해 이달 6일부터 열흘가량의 프리오픈 기간을 거쳐 승인 여부를 결정키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프리오픈은 승인 여부를 결정하기 전 시민들에게 건물을 개방하는 것으로, 시민과 전문가들이 승인 신청 구간을 둘러보며 상황을 점검하게 된다.
서울시의 이 같은 결정은 시민들을 공사장 한복판에 몰아넣고 안전성을 점검받겠다는 위험한 발상이라는 것이 경실련의 주장이다.
경실련은 “초고층 (건물)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공사장 한복판에 시민들을 몰아넣겠다는 발상 자체가 매우 위험하다”며 “이들의 의견을 어떻게 모으겠다는 것인지 불분명하고, 추후 임시 사용 승인에 대한 책임을 시민들에게 떠넘기려는 불순한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시민들의 불안을 야기하는 지반 침하와 석촌호수 수위 저하의 원인을 명확히 규명한 뒤 임시 사용 승인 여부를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실련은 “최근 시민들을 큰 불안에 몰아넣고 있는 싱크홀 문제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인 상황에서 이에 대한 원인을 먼저 규명하는 것이 옳다”며 “석촌호수의 수위 저하 등 제2롯데월드 주변 지질 상태에 대한 연구용역 결과가 내년 중순께에나 나올 예정인 만큼 결과가 나온 이후 이를 면밀히 검토해 임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또 임시사용승인제도를 기업을 위한 특혜로 규정하고, 제도의 폐지를 요구하기도 했다.
경실련은 “모든 건축물은 완공 이후에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우리나라는 완공되지 않은 건축물에 임시라는 딱지를 붙여 사용 승인을 내주고 있다. 이러한 임시 사용 승인은 이용자인 시민보다 기업의 경제적 이익만을 최우선으로 하는 특혜제도”라며 “정부와 정치권은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임시 사용 승인제도 폐지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