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2009년 이래로 코스피 월간 상승률(중간값 기준)은 3월이 6.16%로 가장 높았고 9월이 4.78%로 뒤를 이었다. 이후 12월(3.32%), 4월(2.88%)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9월에는 유럽 재정위기 불확실성이 커졌던 2011년을 제외하면 해마다 코스피가 상승해 상승 확률로는 3월을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MSCI 신흥지수의 9월 상승률은 중간값 기준으로 6.2%, MSCI 전세계지수는 4.4%로 전 세계적으로 이는 비슷한 추세다.
업종별로는 국내의 경우 2009년 이후 9월에는 레저·엔터, 필수소비재 업종이 6∼7%대로 가장 상승률이 컸다. 아울러 소비자유통도 5%대로 높아 내수 관련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MSCI 전세계지수는 소재 업종과 산업재 업종이 5∼6%대로 9월 중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만 이처럼 9월 증시의 계절성이 강한 이유는 뚜렷하게 나타나진 않고 있다. 이진우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9월이 3분기 실적의 윤곽이 잡히고 이듬해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나는 시기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한편 가장 하락률이 큰 달은 5월(2.28%)이었으며 2월과 6월에도 각각 0.49%. 0.42%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