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에 따르면 도내 서북부 지역은 지난 2001년 서해안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개발 압력이 집중되면서 공장과 주거지역이 짧은 기간에 입지함에 따라 난개발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천안, 아산, 서산, 당진시 등 도내 서북부 4개 시·군 지역의 개발 사업 면적은 용지별로 산업용지는 도 전체의 75%, 주거용지는 도 전체의 71%에 해당할 정도로 편중돼 있다.
여기에 개발 사업 지역 인근에 대한 개별입지 등 난개발 발생도 심히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개발행위 및 건축허가 등 개별입지 등에 대한 개입에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도 건설정책과장을 팀장으로 전문기관인 충남발전연구원과 시·군 도시계획담당 등 총 14명의 T/F팀을 구성·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열린 T/F팀 토론회는 난개발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시·군의 난개발 실태 분석 및 전문가 등의 의견 수렴 등이 실시됐다.
도는 오는 10월 14일 제2차 토론회를 열어 난개발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현우 도 건설교통국장은 “난개발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도민의 주거환경 등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동시에 도로,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 확충에 따른 예산 증가로 도와 시·군의 부담이 가중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라고 지적하고 “향후 T/F팀을 지속적으로 운영,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