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회장의 대쪽같은 전면전 선포가 되레 KB금융의 혼란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KB금융 이사회가 임 회장의 대표이사 회장직을 해임할 것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 임 회장 퇴진 전방위 압박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와 금감원은 지난 13일 KB금융 경영정상화를 위한 '긴급 금융합동점검회의'를 열었으며, 금감원은 15일 임 회장을 비롯해 국민은행 주전산기 교체 과정에서 위법·부당행위를 저지른 관련자를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금융권에서 중대한 사건·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내 식구 감싸기'마냥 솜방망이 처벌로 일관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이번 KB금융 사태에 대해선 모처럼 쇠방망이를 휘두른 것이다. 더불어 검찰 고발이란 초강수까지 두면서 이번 사태의 관련자들을 일벌백계 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금융당국도 KB금융 사태를 상당히 심각하게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며 "근본적인 문제까지 뜯어고칠 수 있을지는 두고봐야겠지만, 중징계 처분은 합당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임 회장의 '맞짱', 되레 화를 키웠다
금융당국의 임 회장 중징계 결정, 임 회장의 자진사퇴 거부, 임 회장에 대한 검찰 조사 착수 등은 과거 선례를 봤을 때 어쩌면 예견된 수순이었다.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이 금감원으로부터 중징계 통보를 받자마자 자진 사퇴를 결정한 것과 달리 임 회장은 사퇴를 거부했고, 이때부터 분위기는 심상치 않았다.
임 회장은 금융위로부터 '직무정지' 3개월의 중징계를 받았을 때에도 "결코 납득할 수 없는 결정이다. 진실을 명명백백히 밝히기 위해 소송 등 모든 수단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반발했고, 사태는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게 됐다.
임 회장 자신 뿐 아니라 KB금융의 경영공백과 혼란이 가중될 것이란 점에서 더욱 문제다. 당장 눈앞에 둔 LIG손해보험에 대한 금융위의 자회사 편입 승인도 새 국면을 맞게 됐다.
KB금융은 임 회장에 대한 직무정지 중징계가 확정되자마자 긴급 이사회를 열고 윤웅원 KB금융 부사장을 직무대행으로 선임했지만, 적극적인 경영활동에는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여기에 금감원이 KB금융을 비롯한 전 계열사에 감독관을 파견키로 하면서 운신의 폭도 좁아졌다.
◆17일 이사회의 해임 여부에 주목
사실상 KB금융 사태의 향방은 15일과 17일 각각 열릴 사외이사 간담회 및 긴급이사회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직 이사회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예단하기는 힘들다. KB금융 이사회는 유독 독립성이 강하고, 그동안 금융당국의 경영 간섭에도 아랑곳 하지 않는 모습을 종종 보여왔다.
또 9명의 사외이사 중 3명만 올해 사외이사가 됐고, 나머지 6명은 임 회장이 2011년 KB금융지주 사장이 된 후 계속해서 호홉을 맞춰왔다. 따라서 이사회가 임 회장을 해임하지 않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다만 이번에는 어느 때보다 사태가 심각한만큼 이사회가 금융당국의 뜻을 따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더군다나 금융당국이 검찰 고발, 감독관 파견, 내부통제 정밀진단 등 전방위로 KB금융을 압박하고 있어, 조직을 지키는 차원에서 임 회장을 포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KB금융의 조직안정 및 경영정상화를 위해선 지금이라도 임 회장이 스스로 회장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임 회장의 손발이 묶인 상황에서 사퇴하지 않는다면 KB금융의 CEO리스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임 회장은 본인이 물러날 경우 조직안정 및 경영정상화가 지연될 것이라고 하지만 회장직 유지가 이를 막고 있진 않은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