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공=보험연구원]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가구당 보험가입률이 지난해와 비교해 1.4%p 상승한 97.5%를 기록했다.
15일 보험연구원은 제주를 제외한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보고서를 공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보험소비자의 보험가입실태·가입경로, 상품계약 및 보상서비스 만족도, 향후 가입의향 및 선호 가입경로를 비롯해 최근 주요 이슈인 노후생활 및 연금, 은퇴자산 선택, 개인정보 보호 규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 보장상품 구매의향에 대한 조사 결과가 함께 포함됐다.
가구당 보험가입률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생명보험의 경우 전년대비 2.8%p 상승한 85.8%, 손해보험의 경우 전년대비 0.9%p 상승한 87.7%를 기록했다.
개인별 보험가입률의 경우 전년대비 0.2%p 하락한 93.8%를 기록했으며 개인별 생명보험 가입률은 전년대비 2.0%p 상승한 반면 개인별 손해보험 가입률은 전년대비 0.3%p 하락했다.
연구원은 개인별 손해보험가입률이 상승 추세를 보이나 가구당 손해보험 가입률이 2011년 이후 하락한 것은 장기손해보험 수요 확대가 가구당 보험가입률 상승보다 개인 보험가입률 상승에 더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후대비 생활자금 마련은 은행 예·적금, 보험회사 저축·연금보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후대비 생활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금융상품으로 은행 예·적금을 선택한 응답자 비율은 89.2%, 보험회사 저축·연금보험을 선택한 응답자의 비율은 52.6%로 나타났다. 반면 은행 연금저축, 펀드 등은 29.9%, 주식, 채권 등은 12.2%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노후준비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응답자가 절반 이상으로 조사됐다. 본인의 노후준비에 대하여 본인이 ‘잘 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 비율은 2012년과 지난해에 비해 높아졌으나 수치는 10.2%에 그쳤다.
그러나 ‘잘 못하고 있다’고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 비율은 45.2%로 높게 나타났다. 퇴직연금 수령액을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은 10.3%로 ‘알고 있다’고 대답한 비율 5.3%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보험 상품 가입 시 제공한 개인정보 보호의 관리 수준이 ‘낮다’고 응답한 비율이 44.1%로 나타난 반면 ‘높다’는 응답 비율은 16.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규제강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70.5%, 반면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5.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보장하는 보험 상품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4.8%에 불과했다.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보장하는 보험상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40.4%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응답자 비율이 5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