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교육청, 혁신학교 운영 등 3개 과제 로드맵 발표

 


아주경제 윤소 기자 = 내년 세종시에 4개의 혁신학교가 지정・운영되고 그 수가 연차적으로 확대되는 반면, 각종 연구학교 및 학생 경시대회는 대폭 축소되고 학교평가는 단위학교에 자율권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전면 개편될 전망이라고 16일 밝혔다.

이날 세종시교육청(교육감 최교진)은, 세종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언론 브리핑을 갖고 이 같은 세종혁신학교 운영 등 3개 세부이행과제에 대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 세종혁신학교 운영
시교육청은 2015년 혁신학교 4개교를 지정・운영하는 것을 시작으로 세종시 전체 학교의 10% 내외 수준으로 혁신학교가 운영될 수 있도록 대상 범위를 연차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다음 달부터 세종혁신학교 설명회 등을 통해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이해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11월 말에 혁신학교 4개교를 최종 선정키로 했다.
또한, 세종혁신학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지역 실정에 맞는 정책 연구를 올해 말까지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혁신학교 전담 부서 신설’을 골자로 한 교육청 조직 개편을 단행키로 했다.

▶ 학교 평가 개선
초・중등교육법 및 동 법 시행령에 따라 실시하고 있는 각급학교 학교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자율권을 단위학교에 대폭 부여하여 교육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높일 계획이다.
우선, 올해 학교경영 및 교육과정, 교수・학습 운영에 초점을 두고 학교평가 공동지표를 10개 내외로 축소, 내년부터 학교자율평가를 혁신학교에 시범 적용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2016년부터 모든 학교에 확대・실시할 예정이다.

▶ 연구학교 및 경시대회 축소
또한, 현재 세종시 전체 학교의 45%에 달하는 연구학교를 연차적으로 축소하여 그 비율을 2018년까지 10%대로 낮추기로 했으며, 각종 학생 경시대회도 내년부터는 전국대회 출전을 위한 시 예선 및 페스티벌 형태의 대회만 운영하기로 했다. 최교진 교육감은 “지금 교육계는 한국 교육사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현상에 고무돼 있다”며, “학부모로부터 신뢰 받지 못해 사교육에 압도됐던 공교육이 제 기능을 찾는데 혁신학교가 그 중심에 설 것” 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