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삼성정밀화학은 화학제품에 대한 유럽연합(EU)의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자 공동연구를 수행하기로 하고 18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EU는 환경 규제 강화 차원에서 단일물질에만 적용하던 '분류·표지 및 포장 규제'(CLP 규제)를 내년 6월 1일부터 혼합물까지 확대한다. 이에 따라 국산 화학제품의 EU 수출을 위해서는 업계의 대응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양측은 EU 혼합물 규제에 선제 대응하고자 KIST 유럽연구소에 기술센터를 설치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통합 플랫폼을 구축, 친환경 혼합제품 개발을 지원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목재·면화에서 추출되는 친환경 화학 원료인 셀룰로스 제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KIST 유럽연구소는 이번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국내 다른 관련 기업과도 수출 지원·협력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호성 연구소장은 "산업계와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손잡고 글로벌 규제에 선제 대응하는 수요지향·현장 중심의 새로운 협력 모델"이라고 말했다.
EU는 환경 규제 강화 차원에서 단일물질에만 적용하던 '분류·표지 및 포장 규제'(CLP 규제)를 내년 6월 1일부터 혼합물까지 확대한다. 이에 따라 국산 화학제품의 EU 수출을 위해서는 업계의 대응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양측은 EU 혼합물 규제에 선제 대응하고자 KIST 유럽연구소에 기술센터를 설치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통합 플랫폼을 구축, 친환경 혼합제품 개발을 지원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목재·면화에서 추출되는 친환경 화학 원료인 셀룰로스 제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호성 연구소장은 "산업계와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손잡고 글로벌 규제에 선제 대응하는 수요지향·현장 중심의 새로운 협력 모델"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