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9/19/20140919165814536885.jpg)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2009~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심장기능상실’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09년 9만4000명에서 지난해 11만5000명으로 증가했다.
2013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230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여성이 285명으로 남성 176명 보다 1.6배 가량 많았다.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이 317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70대가 1431명, 60대가 485명 순이다. 진료인원은 50대부터 많아지기 시작해 70대가 되면서 급격히 증가했다.
2009~2013년 심장기능상실(심부전)로 인한 진료인원은 인구 10만명당 연평균 4.5%씩 증가했다. 남성(연평균 증가율 7.1%)이 여성(연평균 증가율 3.0%) 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성은 40대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7.1%)했고 30대에서 연평균 5.3%씩 늘었다.
여성은 80세 이상에서만 연평균 0.5% 증가했으며 나머지 연령에서는 모두 감소했다.
건강보험진료비는 2009년 718억원에서 2013년 963억원으로 1.3배 증가했으며, 건보공단에서 지급한 2013년 급여비는 721억원이었다.
전동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호흡곤란·폐부종·전신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장 펌프 기능의 상실로 인해 저혈압 및 어지러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며 "방치할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돌연사이기 때문에 심장기능상실 발생 시에는 약물치료, 돌연사 예방 치료 및 필요시에는 수술적 치료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