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9/25/20140925181307402387.jpg)
25일 열린 제14차 새만금위원회에서 참석자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사진=새만금개발청 제공]
새만금개발청은 25일 제14차 새만금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방안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변경된 기본계획에 따르면 한중 경협단지를 비롯해 국가별 경협단지를 최우선 조성할 계획이다.
한국과 FTA(예정)국가가 계획 개발 기업유치 단계를 협력해 국내 최초의 글로벌 경제협력 특구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경협특구는 새만금의 전 지역을 대상으로 지리 기능적 여건에 따라 산업·연구권역, 국제협력권역, 관광레저권역 3대 권역별로 특성화했다.
한국의 게임산업 등 첨단 정보통신(IT) 기술과 경협 상대국의 문화·양식 등을 결합한 첨단기술 글로벌화 거점 조성 등 추진 전략도 제시됐다.
수요자 맞춤형 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업종 중심의 8대 용지 체계를 경제협력 단지 조성에 유리한 6대 용지(산업연구·국제협력·관광레저·농생명·배후도시·생태환경용지) 체계로 개편해 투자유치 관점에서 최적화했다.
각 용지별로 면적을 확정하지 않고 범위형태로 제시해 여건 변화를 유연하게 수용하고 기업가의 창의적 개발을 촉진할 계획이다.
또 주거·상업·업무 등 도입 용도에 대해 도입위치·면적 등을 지정하지 않고 기본 방향과 가이드라인만을 제시했다. 기존 마스터플랜상 660~990만㎡ 규모 개발단위를 330만㎡ 내외 규모로 세분화했다.
세계 최고 수준 기업 투자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규제완화 시범지구를 조성해 경협단지 기업의 상품·투자·이동 장애를 없애기로 했다.
이와 함께 △관광 명소화를 통해 사람이 모이는 새만금 조성 △도로·항만 등 주요 기반시설의 조기 조성 △국내외 최고 수준의 규제 완화 △새만금 수질 목표 차질 없이 달성 △새만금 개발사업에 공공기관의 선도적 참여 △거점별로 파급효과가 큰 사업을 선도 추진 △목표 기간 내 사업 완수 등이 8대 선도과제로 선정됐다.
이병국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방안은 철저히 기업의 눈높이에 맞춰 기업투자의 걸림돌이 되어온 규제사항들을 개선하고 경협특구 조성을 통해 새만금을 타 개발특구와 차별화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역점을 뒀다”며 “현 정부 임기 내 8대 선도사업을 중심으로 내부 개발을 본격화하고 새만금을 글로벌 경제협력과 자유무역의 중심지로 만들 것”이라고 전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9/25/20140925181535233696.jpg)
[이미지=새만금개발청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