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희상 비대위원장, 박영선 원내대표,정세균,박지원,문재인,인재근 비대위원을 비롯한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세월호 특별법 협상과 관련해 청와대와 여당이 남의 일처럼 무책임, 무성의로 일관하는 게 답답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사진=새정치민주연합 제공 ]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여당에 연락을 취하고 있지만 닿지 않고 있다"면서 "국정 운영을 책임지는 여당이 협상을 거부해서는 안 된다"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밝혔다.
특히 여당이 다음 본회의 예정된 30일까지 야당과 협상하지 않겠다고 한 것에 대해 "지금 (야당과 유가족의 협상에서) 분명한 상황의 변화가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해 협상 테이블에 나와 허심탄회하게 얘기를 나눠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도 "새누리당은 의회 제도와 야당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면 만나서 일단 얘기를 들어봐야 할 것"이라며 협상 재개를 촉구했다.
같은당 우상호 의원도 이날 TBS라디오에 나와 "여당은 국정 운영에 무한책임을 져야 하는 당"이라며 "국회의장을 압박해 단독국회를 열려고 하는 것보다는 야당과 대화를 통해 특별법 합의에 나서는 것이 책임있는 여당의 모습"이라고 주장했다.
김정현 부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내고 "세월호 특별법이야말로 정기국회에서 최우선으로 처리해야 하는 법안이다. 다른 법안을 먼저 처리한다면 순서가 잘못됐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지금은 집권여당답게 정치적 조정능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당 내부에서 국회의장의 본회의 연기 결정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는 것에 대해서는 "원만한 사태 해결을 위한 결정"이라면서 "비판하기보다는 협상의 기회가 더 늘어났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근 대변인 또한 국회 브리핑에서 "국회의장이 중심을 잡고 나쁜 선례를 만들지 않은 것은 높이 평가해야 한다"며 "본회의가 연기된 만큼 새누리당은 진정성을 갖고 협의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우 의원도 "과거 국회의장들도 여야의 합의를 종용한 적이 여러번 있다. 나름대로 성의를 갖고 결정한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주말 중에 여야가 협상을 타결시켜 서 30일로 연기한 본회의는 예정대로 열리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