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동구에는 청소년수련관, 화수문화의 집을 비롯한 지역자활지원센터, 노인복지센터, 노인복지관, 지역아동센터, 국공립어린이집 등 크고 작은 사회복지시설 162개가 민간위탁방식으로 운영돼 연간 약 110억원의 막대한 국시비가 지원되고 있다.
그 중 약 12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청소년수련관과 화수청소년문화의집의 경우 각각 근무하는 직원이 13명과 3명이나 일일 이용자수는 150여명과 30여명에 불과해 효율적 운영이 필요한 상황이다.
화수2동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시설이 텅 비어있고 분위기도 어두워 청소년들이 출입하지 않는다”며 “막대한 예산을 들여 제 역할을 못하는 청소년시설을 왜 운영하는지 이해가 안간다”고 토로했다.
한편 동구는 인천시에서 재정자립도가 최하위권(14.5%)으로 직원들의 인건비도 충당하기 힘든 어려운 재정여건을 타개하고자 민간위탁운영을 조기에 중단하고 직접 운영하는 절차를 밟기로 방침을 세웠다.
구조조정 결과 절감된 사회복지 재원은 보다 다수의 청소년과 복지대상자를 위해 쓰이는 한편 동구 내 6백여채에 이르는 폐․공가문제 해결을 위한 도시재생사업에 재투자해 낙후된 도시이미지 개선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