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뼈·신경계 질환 줄기세포 논문 세계 4위... 식약처 보고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9-29 17: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줄기세포 치료제 임상연구와 관련된 국내·외 논문을 분석한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 동향보고서’를 발간한다고 29일 밝혔다.

보고서는미국 국립의학도서관(www.ncbi.nlm.nih.gov/pubmed)에 그 간 등재된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에 대한 학술 문헌 중 심장질환 312건, 뼈질환 168건, 신경계질환 171건을 대상으로 질환별 임상수행 국가, 주요 적응증 등을 분석했다.

심장·뼈·신경계 질환에 대한 국가별 줄기세포치료제 관련 논문수를 살펴보면 미국(106건), 독일(71건), 이탈리아(40건)의 순이며, 우리나라는 36건으로 4위다.

심장질환의 경우 독일(63건), 미국(40건), 네덜란드(22건) 등의 순이었으며, 한국은 8건으로 11위였다.

뼈질환의 경우 미국(27건), 이탈리아(23건), 일본(19건), 한국(18건, 신경계질환의 경우 미국(39건), 영국(17건), 중국(15건), 인도(11건), 한국(10건) 등의 순이었다.

심장질환의 연구는 만성심근경색(149건)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급성심근경색(127건), 협심증(20건), 확장심근병(20건)순으로 많았으며 심장초음파(56%)와 자기공명영상(MRI, 37%)을 주로 사용했다.

뼈질환에 대한 연구는 선천적 유전질환(33건), 골결손(31건) 등이 많았으며 ‘05년 이후에는 골관절염의 연구가 활발했으며, 같은 기간 한국은 8건, 미국은 2건이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국내 연구가 활발했다.

신경계질환의 경우 파킨슨병(60건), 척수손상(36건) 등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04년 이전에는 파킨슨병이 연구가 활발했으나, ’05년 이후에는 척수손상 등이 주요 연구대상 이었다.

한국은 척수손상(40%)과 뇌졸중(20%) 연구가 많은 반면, 미국에서는 파킨슨병의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