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최동익 의원은 "전국 산후조리원 550여 곳 중 83%인 460여 곳은 3층 이상에 있으며, 6층 이상인 산후조리원도 전체 35%인 190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현재 산후조리원은 출산하느라 체력이 떨어진 산모와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가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지만, 의료기관은 아니다. 때문에 사업자등록만 하면 되는 일반 독서실이나 고시원과 같은 다중이용업소로 분류되고 있어 화재 등에 대비한 특별한 설치기준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소방방재청은 비상계단 수를 늘리고, 매년 정기적으로 소방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소방서나 전문기관에 정기점검을 받도록 하고, 신생아 대피용 조끼를 구비할 것 등을 개선 사항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개선 사항을 반영하지 않더라도 제재할 방법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산후조리원 화재 취약, 가장 안전해야 할 곳 아닌가?", "산후조리원 화재 취약, 그러고 보니 전부 높은 층에 있더라", "산후조리원 화재 취약, 안전기준 강화 정말 필요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