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남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제주시 을. 사진)은 7일 세종시 정부청사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 자리에서 이동필 장관에게 제주감귤산업 보호대책 마련을 주문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동안 수입개방의 가장 큰 피해를 본 대표적 품목으로 제주감귤을 꼽고 있다. 1994년 우루과이라운드, 지난해 한미 FTA 등 오렌지 수입 등으로 인해 감귤산업은 그 위기가 가속화되어 왔다.
실제 1994년 kg당 농가수취가격은 1001원이었으나 수입개방 등의 여파로 2002년에는 337원으로 하락했던 적이 있다.
더욱이 그 동안 물가상승률, 농자재 및 인건비 등의 상승을 고려해 봤을때 농가의 실질소득은 20년전에도 미치지 못할 만큼 제주감귤산업은 여전히 수입개방의 늪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한편 농식품부가 지난해 10월 중국현지조사 후 김우남 위원장실에 제출한 ‘해외 과수산업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감귤산업의 경쟁력은 재배면적이나 생산량, 가격, 당도 등 수많은 측면에서 한국을 압도하고 있다.
중국 감귤생산량이 해마다 9.4%씩 늘고있는 가운데 2011년에는 한국 감귤생산량 58만8000t의 약 50배에 달하는 2944만t을 생산했다.
이는 전 세계 감귤생산량의 20.5%에 해당하는 양으로 세계 1위를 기록하는 수치이다.
또한 중국 감귤의 가격 경쟁력과 당도 역시 한국 감귤을 앞섰다. 중국 감귤 출하가격은 kg당 216원으로 한국 kg당 1447원의 약 7분의 1 수준에 불과했고, 당도의 경우 한국산 감귤 평균이 2012년 기준으로 9브릭스인데 반해 중국은 10~13브릭스를 기록했다.
게다가 중국 감귤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아직 한국 10a당 3240kg의 41%에 불과하지만 우수 생산농가만을 추려 비교해 보았을 경우 10a당 4,500kg에는 우리 생산량보다 오히려 28%가량 높아 중국의 감귤재배 기술도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김 의원은 “지리와 기후적 이점이 있는 중국 감귤의 경쟁력이 중국 정부의 집중지원에 힘입어 생산량, 출하가격, 당도 등 주요 경쟁력 측면에서 한국 감귤을 월등히 압도하고 있다” 며 “한·미 FTA에 따른 오렌지 계절관세가 2018년부터 완전 철폐되는 상황에서 한중 FTA 타결 후 중국 감귤류마저 무차별적으로 개방된다면 1차산업의 비중이 높고, 감귤이 농산물 조수입의 59.8%를 차지하는 제주는 재앙을 맞을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감귤류가 초민감품목으로 지정된다 해도 계절관세, TRQ, 부분관세 철폐 등은 결국 관세인하를 수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환상을 버려야 한다” 며 “중국 감귤류는 주로 8~10월부터 다음해 3~6월까지 연중 수확·판매돼 우리나라의 노지감귤 및 만감류 출하시기와 비슷해 특정기간 관세를 감축하는 계절관세도 한중 FTA에 따른 제주감귤의 피해를 줄이는데 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