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0/13/20141013123833302803.jpg)
[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주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남북관계와 관련, "전쟁 중에도 대화는 필요하다는 말이 있듯이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정착을 위해 대화는 지속돼야만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통일준비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를 주재하면서 "정부는 앞으로도 도발에는 단호히 대처해 나가되 대화의 문은 항상 열어놓고 평화정착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박 대통령은 "고위급 접촉을 남북관계 개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지금 핫이슈인 5·24(대북 제재) 문제 등도 남북한 당국이 만나 책임 있는 자세로 진정성 있는 대화를 나눠 풀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박 대통령의 언급은 이달 말∼11월 초로 예정된 남북 2차 고위급 회담의 주의제가 5·24 조치에 관한 사안이 될 수 있으며, 대화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돼 향후 북한의 대응이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도발에 대해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인천 방문과 남북 간 대화 재개 합의로 우리 국민은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가졌다"며 "하지만 곧 이은 서해 NLL(북방한계선)과 휴전선에서의 총격 사건으로 다시 불안이 가중됐다. 그동안 남북관계는 늘 이렇게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왔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의 분단의 역사를 접고 진정한 통일을 이루려면 남북관계를 정략적이거나 정치적인 문제로 끌고 가거나 이용하려는 것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해달라”며 “진정성 있는 통일 준비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길이 되어야 하고, 북한 주민의 삶을 돕는 길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통준위에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통일준비위의 활동방향과 관련, △DMZ(비무장지대) 세계생태평화공원 건설 세부방안 마련 △평화통일 헌장 제정 준비 △북한 주민의 삶의 질 개선방안 추진 △통일한반도 달성을 위한 주변국 설득 등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지금 한반도 평화는 불안정한 상태이지만 그럴수록 국민들이 긴장 완화를 체감할 수 있고 실제로 남북한이 평화의 관행을 쌓아갈 수 있는 액션플랜이 필요하다”며 “지난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비무장지대에 세계생태평화공원을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DMZ 공원 건설 방안과 관련해 "공원 후보지 선정에 본격 착수하고 친환경 공원 조성을 위한 기초설계 작업, 주변지역 도로 정비 등 연계발전 계획 등을 추진해 북한도 동참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평화통일 헌장 제정에 대해서는 "통일 준비 과정에서 국민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통일 이후 우리가 추구해야 될 가치와 비전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이고 현실감 있는 내용을 담아달라"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 주민의 삶의 질 개선과 관련해서는 "의료분야의 경우 기존의 의약품 지원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의료장비, 의료시설 등 의료지원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복합농촌단지 사업도 마을 단위 식량문제 해결을 위한 비료 지원,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부엌 개조, 마을도로 정비 등 민생 인프라 차원의 구체적 사업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남북 간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스포츠와 문화교류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통일 한국이 글로벌 파트너십을 이끌어가는 모범국가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해달라”며 “그러려면 남북관계도 세계화 시대에 걸맞게 국제규범과 관행이 지켜지는 관계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도 평화, 환경, 인권 등 인류보편적 가치를 존중하는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되어야 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한반도 통일이 동북아의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뿐 아니라 주변 국가의 안보적 이익에도 부합한다는 점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