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의원은 "정부가 2017년까지 1만2000개의 공공와이파이를 확대 설치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어 통신비절감효과가 기대되지만, 지난 6월 공공와이파이를 이용한 범죄가 발생해 1700여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건이 발생했다"며 "공공와이파이 확대도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공공와이파이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공공와이파이 해킹을 막기 위해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깔아 예방할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주무부처인 미래부가 공공와이파이의 DNS 서버 변조를 막는 등의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지난 5월 8일 관계부처합동으로 발표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또한 지난 4월 21일 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사물인터넷 시대의 안전망, 융합보안산업'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해 "국내 융합보안 피해예상액이 국내총생산(GDP)의 1% 규모로 추정했을 때 2015년 13조4000억원, 2020년 17조7000억원, 2030년 26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가 신용도 하락 및 2차 피해 등을 고려하면 피해액은 더 증가할 것"이라며 "사이버상에서의 안전망 구축이 IT 국가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최 의원은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