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국정감사] 양승조 “에볼라 의심환자 대응 부실”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정부의 에볼라 바이러스 대응 핫라인이 제대로 가동하지 않아 에볼라 의심환자가 신속하게 치료를 받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양승조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달 22일 사망한 에볼라 의심환자가 보건당국의 초기 대응 부실로 최초 신고 후 1시간40분 만에 병원에 입원했다고 주장했다.

양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가나에서 6개월 머물다 귀국한 A씨는 발열, 두통, 구토 등을 호소하며 지난달 21일 오후 6시 17분에 소방서에 최초 신고를 했다.

부산소방안전본부는 오후 6시 40분과 42분, 오후 7시 12분 세 차례 질병관리본부에 전화했지만 에볼라 핫라인과 연결되지 않았다.

이후 질병관리본부는 A씨가 아프리카 어느 국가를 다녀왔는지 확인이 안 되는 상황에서도 에볼라 발생 3개국 입국자 명단에 없다는 이유로 일반병원 이송을 권유했다.

이송 예정이던 부산대학교병원은 방문국가가 확인이 안 된 에볼라 의심환자라며 국가지정입원치료병원으로 이송하라고 부산소방본부에 회신했다.

부산소방본부는 국가지정병원인 울산대학교병원에 해당 환자의 입원 가능 여부를 물었지만 울산대병원은 문의한 지 20분이 지나서야 자신들이 지정병원이 아니라며 환자를 부산대병원으로 데려가라고 답했다.

결국 이 환자는 최초 신고 후 1시간 41분이 지난 오후 7시 58분에야 병원에 입원할 수 있었고 입원 다음 날 숨졌다.

양 의원은 “A씨가 열대열 말라리아 환자로 판정되기는 했지만 초기 대응이 우왕좌왕하면서 환자가 신속하게 치료를 받지 못했고 결국 사망했다”며 “에볼라 대응을 위한 핫라인이 제때 가동되지 않고 국가지정병원은 지정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한 채 진료를 거부한 것은 에볼라 대응체계에 허점이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에 문제로 드러난 의심환자 의뢰체계를 재점검해 질병관리본부와 지역소방본부, 국가지정병원이 더 긴밀한 협력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