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줄 쥔 ‘왕서방’들이 몰려온다 “우리 정부·기업, 대응책 필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0-14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중국의 해외직접투자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우리 정부와 기업들의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액은 지난해 1010억달러로 미국과 일본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지난 1990년 8억달러에 불과했으나 2005년부터 연평균 30%의 속도로 증가, 지난해 10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 세계 해외직접투자액에서 2.3%에 해당하는 규모다.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잔액 규모는 더 가파르게 올라 지난 2005년 572억달러에서 지난해 6136달러로 10년도 채 되지 않아 10배 이상 늘어났다. 전 세계 해외직접투자잔액 전체 규모에서도 7.2%에 달하는 액수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직접투자 양상도 최근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우선 국유기업 중심의 투자에서 민간기업들도 투자에 나서고 있다. 민간기업의 투자금액 비중은 지난 2005년 9.9%에서 2013년에는 25%로 급증했다.

투자 대상도 제조업 중심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그 중 에너지 분야의 투자액이 가장 가파르게 늘고 있다. 중국 해외직접투자액 중 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는 2005년 79억7000만달러에서 지난해에는 627억7000만달러로 급증했다.

아울러 M&A에 대한 투자비중도 기존에 직접 공장 등 제조시설을 짓거나 하는 방식의 그린필드(Green Field) 투자 방식을 제치고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03년 M&A와 Green Field 형태의 투자비중은 각각 10.4%, 89.6% 였으나 2013년에는 M&A와 Green Field가 각각 72.2%, 27.8%를 차지해 완전히 반대 양상이 됐다.

보고서는 특히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에 따른 해외시장 진출 욕구가 커지고, 자본시장 규제 완화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중국의 해외투자는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과 정부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중국 기업의 급속한 성장과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중국의 추격 전략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중국과 한국과의 경제관계가 종속적인 관계로 진행될 가능성에 대한 대응책 △중국 민간기업들의 상업적 목적의 투자 증가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전략적 대응책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중국 자본 유입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경영권 방어와 산업기술 보호 등을 위한 대응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전용찬 연구위원은 “중국 기업들이 해외직접투자로 유발되는 국내외간 기업들의 시너지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 제조업 경쟁력 제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우리 제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노력이 절실하다”며 “우리나라도 정부가 관련 규제를 완화하여 기업들이 전략적인 해외직접투자를 유도하여 산업구조 고도화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