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미래 세대를 대상으로 쌀밥 중심의 식습관을 유도하는 한편 쌀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예산을 올해 40억원에서 내년 55억원으로 늘렸다고 15일 밝혔다.
이를 통해 내년 쌀가공식품 급식지원 학교를 60곳으로 2배 늘리고 아침밥 먹기 캠페인 대상학교를 4곳에서 10곳으로, 쌀요리교실 지원학교는 48곳에서 1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농식품부는 내년에 쌀과 쌀가공식품 수출 지원을 위한 예산 53억원을 신규편성하고 8월 출범한 쌀가공식품 수출지원 추진단을 활용해 연구개발, 수출 컨설팅, 규제개선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쌀빵·쌀국수·술·햇반 등 경쟁력있는 쌀 가공식품 개발을 지원하고, 쌀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신소재와 기능성 쌀 개발도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쌀 개방 등에 따른 농가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수입쌀과 국산쌀의 혼합 판매·유통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내년에 농협 하나로마트 10곳에 쌀 가공식품 판매장을 설치키로 했다. 특히 대형유통업체들을 상대로 미곡종합처리장(RPC)에 저가 납품을 강요하지 않도록 하고 쌀 판촉행사에도 적극 동참하도록 요청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