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가격만 올리는 페라가모의 배짱영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0-16 20: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페라가모 지니백 ]

아주경제 한지연 기자=경기 불황에 해외 명품업체들의 매출이 주춤한 가운데 이탈리아 명품브랜드 살바토레 페라가모가 오히려 가격 인상을 단행해 눈총을 사고 있다. 

샤넬·루이비통·에르메스 등과 함께 5대 명품 브랜드로 불리던 페라가모가 예전 명성을 되찾기 위해 '고가 마케팅'에만 열을 올린다는 지적이다. 신혼여행객이 몰리는 가을철을 틈타 기습적으로 가격을 올려 소비자 불만도 커지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페라가모코리아는 오는 20일부터 주요 핸드백과 구두·지갑·스카프·벨트·넥타이 등 전 제품의 면세점 평균가격을 최대 20% 인상한다. 이번 인상 대상에는 6개월전에 가격을 올린 제품도 다수 포함됐다.

대표 제품인 지니백은 가장 작은 사이즈가 680달러에서 730달러로 7.35%인상되며, 중간 사이즈도 기존 970달러에서 10%내외로 오른다. 인기 제품인 소피아백도 중간사이즈 기준 1790달러에서 10% 내외 인상될 예정이다.

구두는 이미 일부 제품 가격이 올랐다. 페라가모 대표 모델인 '바라'는 최근 510달러에서 565달러로 약 11% 올랐다. 이 제품은 지난 4월에도 460달러에서 510달러로 10.8%로 인상된 바 있다. 까를레도 오는 20일부터 기존 525달러에서 610달러로 16.19% 오른다.

페라가모코리아는 최근 2년새 동일제품 가격을 5번이나 기습적으로 인상해 눈총을 받아왔다.

이에 대해 페라가모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가격 변동은 1년에 2번씩 하는 정기적인 인상조치"며 "본사 내부 방침이라 자세한 것은 모른다"고 말했다.

하지만 관련 업계는 수악성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페라가모가 국내 소비자의 과시소비 성향을 이용해 가격 올리기에만 급급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페라가모코리아의 매출은 2011년 972억원, 2012년 984억원에서 지난해 1119억원으로 다소 늘었지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01억원, 192억원, 지난해 107억원으로 3년 연속 하락했다.

이 같은 경영난에 최근 서울 청담동 갤러리아 명품관에서 매장을 철수하기도 했다. 해외 명품브랜드로는 이례적으로 신세계백화점 온라인몰에 입점해 판매를 시작했지만 이 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실적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페라가모가 이미지를 제고하고 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가격 인상카드를 활용하고 있다"며 "3~4개월마다 반복적으로 가격이 인상되면서 우량 고객 이탈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