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0/17/20141017111858659734.jpg)
한국국제대학교 제약공학과 성환길 석좌교수는 최근 지리산 반야봉 근처 계곡에서 약용식물을 탐사하던 중 흰말채나무를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흰말채나무는 일명 홍서목이라고 불리며, 함경도와 평안북도 등 북한에서 야생 또는 자생하는 식물이다. 낙엽 활엽 관목으로 키가 3m에 달하며, 가지는 가을부터 붉어지고 꽃은 5~6월에 황백색으로 핀다. 열매는 9~10월에 백색으로 익는다고 알려졌다.
이 흰말채나무가 지리산에서 발견된 것은 처음으로, 지리산의 식물상이 다양하게 분포한 것을 입증할 수 있다고 성 석좌교수는 설명했다.
한편 흰말채나무는 수렴, 지혈, 감기, 몸살, 소염, 신경통, 관절통, 습진, 단독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또 옛날부터 민간약으로는 신경통 관절통 등의 치료에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