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경 우리은행 감사, 박판도 경남은행 감사, 박대해 기술보증기금 감사, 공명재 수출입은행 감사 등 '정피아(정치권+마피아)' 출신 인사들이 금융권에 급속도로 내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세월호 사태 이후 국내 전반에 '관피아(관료+마피아)'를 배제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자 정피아 인사들이 득세할 것이라는 우려가 금융권 내에서도 현실화되고 있다.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감사직에서 관피아가 물러나자 정피아가 대신하는 형국이다.
최근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금융공기업 및 이들이 지분을 보유한 34개 금융사 임원 268명 중 18%(48명)가 정피아 출신이다.
특히 정피아 출신 인사들이 주로 경영진을 견제해야 하는 감사나 사외이사직을 맡고 있지만 금융권 경험도 많지 않아 제대로 된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 다른 문제는 금융권 내에서도 관피아뿐만 아니라 정피아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오히려 이를 적극 반대해야 할 금융권 내부에서 '힘센 정피아'를 원하는 것이다. 지난해 금융권 CEO 교체 당시 임직원들이 몸담고 있는 금융기관이 향후 사업 및 목표 등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에서 어차피 올 것이라면 힘센 힘센 관피아를 원했던 것과 비슷하다.
최근 KB사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관피아, '연피아(연구원+마피아)'로 인한 낙하산 인사가 꼽히고 지배구조에 대한 중요성도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박근혜 대통령이 관피아 척결을 강조한 만큼 그동안의 병폐가 정피아, 연피아 등으로 번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자제해야 할 시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