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과거 광둥성 특산품인 향을 운반하는 항구로 유명했던 '홍콩(香港·향기나는 항구)'에서 최근 최루탄의 향이 도심을 뒤덮었다. 관광객들로 북적거렸을 센트럴과 몽콕 등 홍콩 번화가는 민주주의를 외치는 홍콩 시위대에 점거된 지 오래다.
지난달 28일부터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가 24일째를 맞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교착상태에 빠져 있다. 홍콩 정부와 민주화 시위대가 사태해결을 위해 가까스로 대화를 통한 돌파구 마련에 나섰으나 깊어진 갈등의 골을 매울 수 있을 정도의 진정한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이번 시위는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의 원칙을 어기고 지나친 간섭에 나선 중국에 대한 반발에서 시작됐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친(親)중국 인사만 입후보 할 수 있다는 '반쪽자리' 홍콩 행정장관 선거안을 의결하면서 '진정한 보통선거'로 상징되는 홍콩인의 민주화 외침을 촉발시켰다.
시위대는 자유직선제의 보장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중국 지도부는 시위대에 굴복할 경우 티베트, 신장(新疆) 등 중국 본토의 민주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타협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집하고 있다.
'우산혁명'으로 불리며 제2의 톈안문(天安門) 사태 재연의 우려까지 키웠을 정도로 뜨거웠던 홍콩 시위도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현실적으로 홍콩과 중국 관계 변화의 분수령적 계기를 마련한 이번 시위가 진정한 보통선거의 요구 관철이라는 결말로 귀결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국양제 체제의 한계점을 드러내고 홍콩의 민주화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대한 의미를 남겼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중국은 이번 홍콩 시위로 1989년 톈안먼 사태 이후 집권 이후 최대의 정치적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민주화를 인정해줄 수도 무력으로 시위를 진압할 수도 없는 '딜레마'에 빠진 시진핑 행정부에게 이번 홍콩 사태는 집권 후 최대 과제가 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