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편두통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7년 42만6645명에서 2013년 49만4515명으로 매년 2.49%씩 증가했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계산하면 적게는 892명에서 많게는 1012명으로 분석됐다. 100명 중 1명이 연간 1회 이상 편두통으로 진료를 받은 셈이다.
편두통 진료에 지출된 연간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07년 306억원에서 지난해 411억원으로 늘어 연평균 증가율은 5.03%로 나타났다.
2013년을 기준으로 여성 환자를 연령대별로 나누어 보면 50대(7만8044명, 21.9%) 40대(7만7441명, 21.8%) 30대(5만7619명, 16.2%) 순이었으며, 이들이 전체 여성 진료인원의 60%를 차지했다.
편두통을 방치할 경우 두통의 고통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고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편두통으로 발전할 수 있어 치료가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원인은 아직 확실치는 않으며 유전적 요인 외에도 신경염증, 혈관수축, 중추 민감화 등 다양한 학설이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편두통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 및 프로게스테론과 연관된 것으로 가임기 여성에서 더욱 유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며 "예방법으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충분한 잠, 운동, 영양섭취"라고 말했다.
이어 "월경과 같은 피할 수 없는 요인이 있는 경우는 예방약을 복용함으로써 증상을 약하게 할 수 있지만 평소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는 것은 그 자체가 만성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