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글로벌 배기가스 규제와 연비 기준이 점차 강화되는 가운데 각국의 ‘친환경차’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모아졌다. 아직까지 내연기관 차량 점유율이 높은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친환경차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보조금 지원과 관련 인프라 구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자동차산업협회(OICA)는 23일 ‘세계자동차산업, 상황과 경향’이라는 주제로 한국과 미국, 독일, 프랑스, 중국, 일본 등 22개국 26개 OICA 회원단체 대표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자동차산업협회 라운드 테이블’을 개최했다.
한국인 최초로 OICA 회장으로 선출된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회장은 “1960년대 한국자동차 산업이 시작한 이래 40여년이 지난 지금 대한민국은 전 세계 5대 자동차 생산국이 됐다”며 “한국이 자동차 생산국일 뿐만 아니라 글로벌화 된 시장으로 발돋움 하면서 OICA 총회에서 친환경 자동차 등 자동차 산업에 이해를 높이는 자리를 마련하게 돼 영광”이라고 말했다.
이날 OICA 라운드테이블에는 한국, 미국, 프랑스, 중국, 일본, 인도, 독일, 러시아 등 8개국의 자동차협회의 관계자들이 발표자로 나서 △자동차시장 수요 동향 및 전망 △자동차산업 발전정책 발표 △친환경차 시장 전망 및 보급지원정책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친환경차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이항구 산업연구원(KIET) 박사는 “친환경차 개발 및 상업화전략을 추진하기 위한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자동차산업계의 화석연료의존율 감소와 안전도 강화를 위한 연구에 적극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친환경차 시장의 규모를 키워갈 예정이다. 현대차는 2015년에 쏘나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2016년 아반떼 전기차(EV)와 아반떼 하이브리드(HEV)를 출시할 예정이고, 기아차도 2016년 K3 EV를 출시할 계획을 갖고 있다. 연구개발(R&D) 비용 절감을 위해 완성차와 부품업계간 협력으로 배터리 등 핵심 분야의 개발비용 절감에 힘쓰고 있다.
독일은 산업계, 노동계, 과학계 등이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 시장중심적인 전기차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공동목표는 2020년까지 독일이 전기차 시장에서 주도적인 국가로 발돋움 해 부가가치 및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친환경차 지원금 제공에도 적극적이다. 클라우스 브라우니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 이사는 “버스차선 이용허용 또는 특별지정차선 조성 및 전기차를 위한 우대정책 등 비 금전적인 인센티브제도와 저리금융지원 등 금전적 인센티브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본과 중국의 경우 정부 주도하에 친환경차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일본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친환경차 비중을 전체 자동차의 50%까지 늘린다는 방침이다. 또 EV 및 PHEV 충전소 솔치를 위해 2015년까지 1005억엔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은 마카이 부총리가 친환경차 개발 위원회의 수장을 맡는 등 정부 주도하에 EV와 HEV 시장을 2025년 300만대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프랑스는 정부의 탄소배출량 규제로 신규 승용차의 평균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줄여나가고 있다. 탄소배출량이 낮은 차량에 보조금을, 높은 차량에게는 부담금을 부과하는 정책으로 친환경차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OICA는 김용근 KAMA 회장을 차기 OICA 회장으로 선임했다. 한국인이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대표 협의기구인 OICA 회장에 선임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OICA는 세계 자동차산업 발전을 위해 1919년 설립된 글로벌 협의체다. 현재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이태리, 일본, 중국 등 8개국이 상임이사국이며 전 세계 38개 자동차단체가 회원으로 가입해 있다. 상임이사국은 연간 생산대수가 100만대를 넘는 자국기업 1개 업체 이상을 회원으로 가진 자동차단체로 구성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