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소식통은 이날 "최윤희 합참의장 주관으로 육·해·공군참모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31일 합동참모회의가 예정되어 있다"며 "문제가 되는 통영함의 장비를 개선하는 방법과 개선 기간 등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 같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방위사업청에서 통영함에 정상적인 장비를 장착하도록 기한을 1년 또는 2년 이상 달라는 요청을 합참으로 한 것으로 안다"며 이번 합동참모회의에서는 장비를 개선해서 달 수 있는 기한을 늘려주는 방안을 의결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방사청은 통영함에 탑재됐으나 성능에 문제가 있는 수중무인탐사기(ROV)와 음파탐지기를 정상적인 장비로 교체하거나 개선하는 데 필요한 기한을 늘려주도록 합참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다른 소식통은 "해군에서 운영 중인 2척의 수상함 구조함 중 1척이 이르면 연말에 퇴역할 계획"이라면서 "방사청과 해군은 일단 통영함을 해군으로 넘겨서 일반적인 구조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합동참모회의에서 장비성능 개선 기한을 연장해 주면 통영함은 내년 초에 해군으로 인도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성능이 떨어진 장비를 개선하지 않은채 해군에 통영함을 떠넘기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도 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통영함을 둘러싼 방산비리 의혹이 불거지면서 통영함을 조기에 인도해 방사청과 해군 모두 잡음을 조기에 봉합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해군 관계자는 "합참과 방사청, 국방기술품질원이 장비성능 개선책을 마련하고 이를 법적으로 보장한다면 해군은 통영함 인수를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군은 지난 2012년 9월 4일 진수된 통영함에 탑재된 ROV, 소나의 장비성능이 작전요구 성능에 들어맞지 않다고 판단, 인수를 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